진주성과 촉석루

revised at  2017-04-29, 2018-11-20, 2019-10-31, 2019-12-03, 2019-12-24  

천년도시의 중심인 진주성은 경남 사람들에게는 정신적, 정서적 중심이다. 진주성에는 수많은 사적이 산재해 있고, 곳곳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이야깃거리가 있다. 틈나는대로 진주성과 얽힌 자료들을 이곳에 정리해 보고자 한다.

진주성(사적 제118호)

진주성은 외적을 막기위하여 삼국시대부터 조성한 성으로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깃든 유서깊은 곳이다. 고려 말 우왕 5년(1379)에 진주 목사 김중광이 왜구의 잦은 침범에  대비하여 본래 토성이던 것을 석성으로 고쳐 쌓았으며, 임진왜란 직후에는 성의 중앙에 남북으로 내성을 쌓았다.

선조 25년(1592) 10월 왜군 2만여 명이 침략해 오자 김시민 장군이 이끄는 3천 8백여 명의 군사와 성민이 힘을 합쳐 물리쳤으니 이것이 임진왜란 3대 대첩의 하니인 진주대첩이다. 이듬해 6월에는 왜군 10만여 명이 다시 침략했고, 민간인과 관료, 군인 등 7만여 명이 이에 맞서 싸우다 모두 순절하는 비운을 겪기도 하였다.

1972년에는 촉석문을 복원하였고, 1975년에는 일제 강점기에 허물어졌던 서쪽 외성의 일부와 내성의 성곽을 복원하였다. 1979년부터는 성 안팎의 민가를 모두 철거하는 등 진주성 정화 사업을 시작하여 2002년에 공복문 복원 공사를 마지막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정곽의 둘레는 1,760m 높이는 5~8m이며 성 안에는 촉석루, 의기사, 영남포정사. 북장대, 창렬사, 호국사, 서장대, 임진대첩계사순의단, 국립진주박물관 등이 있다.

사적 제118호

드론으로 보는 진주성의 아침, 2017-04-29

남강의 아침

아침시간 남강은 분주하다. 물속을 뒤지는 오리들도 그렇고 사람들도 아침운동과 등교, 출근 등으로 제각각 나름대로 바쁘게 움직인다. 그중의 한사람 주변을 살피고 사진을 열심히 찍는 나도 분주하긴 마찬가지다.

사실인지는 모르겠으나 진주에 있던 경남도청이 부산으로 이전 해 가면서 진주에 남겨 준 선물이 “경남문화예술회관”이라는 소문도 있다. 한동안 진주에서는 가장 큰 건물이요 진주의 랜드마크 이기도 했던 문화예술회관이 지금 봐도 그 위용은 못하지 않다. 역시나 도청과 맞 바꿨다고 해도 믿을 만해 보인다.

새들도 참 영리하다. 누가 “새대가리”라고 했던가? 아침 운동하는 사람들 지나가는 사람들 학생들 다들 무시하고 새들은 자기들 일에 열중이다. 그러나 내가 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을려고만 하면 잽싸게 도망간다. 초상권에 대한 강한 집착이 아닐 수 없다.

2019.12.24

 

촉석루

촉석루는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8호로 남강가 의암바위 위에 장엄하게 솟아 있는 영남 제일의 누각이다. 1241년 고려 고종 28년에 부사 김충광에 의해 창건되어 8차례 중건과 보수를 거쳤다. 처음에는 장원루라고 부르다가 조선 초기 기록에 촉석루로 명명되게 된다. 촉석루는 본래 전쟁이 일어나면 유사시 진주성을 지키는 지휘본부 또는 경상우도 군사들을 지휘하는 지휘본부로서 사용하였다. 또한 평상시에는 과거 시험 또는 향시를 치루는 고시장으로도 쓰였다.

임진왜란 중에서는 상시 지휘본부로 사용되었고, 1593년 7월 29일 왜군의 파상적인 공격으로 진주성 동문이 무너지자, 서예원, 김천일, 최경회, 이종인 등은 이곳에 모여서 결사항전 하였으나, 모두 전사하거나 남강에 뛰어들어 자결하였다. 그 후 1618년 조선 광해군 10년에 병사(兵使) 남이흥이 재건했다. 1948년에 국보로 지정되었으나 한국전쟁 때에 불탄 것을 1959년에 진주고적보존회가 시민의 성금으로 새로 복원하였다. 촉석루의 뒷쪽으로는 논개의 넋을 기리는 의기사가 있고 아래로 의암으로 내려가는 계단이 있다.

2019.12.24

성아래 강변에서 보는 촉석루

진주성 밖으로 나가서 계단을 내려가면 강변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는 촉석루는 아마도 옛 성민들이 빨래를 하거나 일을 하면서 보던 촉석루의 모습이였을 것이다.

2019.10.31

강 건너편에서 보는 진주성과 촉석루 반영

진주성 밖으로 나가서 계단을 내려가면 강변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다. 여기서 보는 촉석루는 아마도 옛 성민들이 빨래를 하거나 일을 하면서 보던 촉석루의 모습이였을 것이다.

2018.11.20

의기사와 논개영정

의기사는 충절의 여인 논개의 영정과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촉석루 뒷편으로 담을 이웃하고 있으며, 입구에는 시인묵객들이 바친 충절을 찬양한 시비들이 눈에 보인다. 입구를 들어서면, 최근 2008년 10월 1일 고증을 통해 충남대 윤여환 교수에 의해 제작되어 새롭게 봉안한 표준영정이 보인다. 의기사 간판 왼쪽으로는 일제시대 을사오적 중의 하나인 이지용을 꾸짖었던 산홍의 시가 있고, 오른쪽으로는 다산 정약용이 쓴 촉석루 중수기가 있다.

2019.12.24

진주성 포루와 총통

진주성을 방어하는 포진지이다. 선조40년(1607) 병사 김태허(1555~1620)에 의해 진주성 내, 외성에 포루 12좌가 설치되었는데, “여지도서”의 “경상우도병마절도영” 조에 의하면 “내성의 포루는 3곳이니 삼가, 의령, 곤양 등 3읍의 소속”이고 “외성의 포루는 9곳이니 진조, 단성, 초계, 거창, 사천, 함양, 남해, 합천 등 3읍 소속”이라고 하였다. 1969년부터 진주성을 복원하면서 상징적으로 1개소만 복원하였다.

2019.12.24

진주성 야외에 전시된 포들

2019.12.03

영남포정사

1618년(광해군 10년) 경상우도 병마절도사의 관문이었고, 1896년 경상남도 관찰사의 정문이 되어 영남포정사라고 하였다. 1925년 경상남도 도청이 부산부로 옮겨지기 전까지는 도청 정문으로 사용 되었다.(진주는 1896~1925년 경상남도도청 소재지였다.) 문루 앞에는 수령 이하의 사람은 말에서 내려 걸어 들어오라는 뜻의‘수령이하개하마비(守令以下皆下馬碑)’가 있다.

2019.10.31

경절사

경절사 앞에는 아래와 같은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 곳은 고려조 충절신 하공진 장군의 영정과 위패를 봉안하고 향례를 받는 곳이다. 공은 현종원년(1010년), 안으로는 왕실의 위난을 수호한 공을 세웠고, 밖으로는 거란의 40만 대군을 삼촌설로 퇴각케 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가를 위하여 적국의 볼모가 되어 절개를 굽히지 않고 의를 좇아 신명을 홍모와 같이 버리신 분이다.

그러므로 나라에서는 문하시랑동평장사를 추증하고 영정을 기린각에 모시었다. 공의 죽음은 곧 위국충절의 상징이 되어 이곳 진주를 충절의 고장이라 일컫는 효시가 되었다.

2019.10.31

북장대

진주성 북문의 지휘장대로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4호로 지정되어 있다. 임진왜란 때 군 지휘소로 사용되었으며, 그 당시 소실된 것을 1618년 광해군 10년에 병사(兵使) 남이흥(南以興)이 중건한 건물이다. 그 후 여러 번의 중수(重修)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고, 현재의 건물은 1964년에 중수한 것이다. 내성 북쪽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서, 성내와 성외의 포진까지 살피며 지휘할 수 있었던 곳으로 편액은 진남루(鎭南樓)라고 되어 있다.

형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다락집형 건물이다. 건물 위에는 좌측으로 인사동이 보이고, 정면으로는 비봉산이 보이며, 오른 편으로는 진주 시내가 한눈에 보인다.

2019.12.24

청계서원

청계서원은 고려시대 문익점의 장인인 문충공 정천익을 모신 서원이다. 1363년 고려 시대 원나라에서 목화를 숨겨 들여온 문익점은 장인 정천익에게 배양과 재배를 부탁하고, 정천익은 3년간 연구 끝에 재배에 성공한다. 이어 면화를 가공하는 물레를 고안하여 보급한 공으로 문충공의 시호를 받고, 진양군(晋陽君)에 봉해졌다.

청계서원은 그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서원이다. 바로 오른쪽 편으로는 경절사가 있고, 뒷편으로는 북장대가 보인다.

2019.12.24, 2019.10.31

창렬사

창렬사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충무공 김시민 장군, 진주목사 서예원 등 39명의 신위를 모신 사당이다. 

1607년 선조 40년 사액을 받았으며, 고종 조의 서원철폐령에도 제외된 47개소의 서원 중 하나로 당시 김시민 장군을 모셨던 충민사가 철폐되고 이곳으로 통합되었다.

진주성 정문인 촉석문의 반대쪽에 서장대 아래의 호국사 옆에 자리를 잡고 있으며, 경상남도 시도지정유형문화재 제2호인 촉석정충단비와 함께 순국영령을 기리는 건물이다.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호로 지정되어 있다. [위키백과 참조]

나와 같은 고교를 졸업한 동문들은 나와 같은 기억들이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매주 한번씩 학교 등교하기 전 새벽에 이곳에 집결해서 빗자루 하나씩 들고 창열사와 호국사 주변을 깨끗이 쓸고, 쓰레기를 줍고 해서 항상 청결을 유지하였고, 청소가 끝나면 창렬사 뜰에 도열해서 순국하신 분들에 대한 묵념으로 고마움을 표시했었다.

그러나, 항상 좋은 일의 이면에는 잊지 못할 흑역사도 있기마련, 한창 성장하고 여물어가는 혈기방장한 고딩들이 새벽시간에 맞춰 나온다는게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요즘 같으면 말도 안되는 일이지만 지각한 친구들(나도 해당됨) 매번 줄줄이 업드려 뻗쳐해서 벌서고, 요령부리다 빠따 맞고, 호랑이 같은 선생님들의 호령소리 요란했었지…., 그래도 몇몇은 요령껏 빠져나가 딴짓하고… 내가 모르는 짓도 많이 했으리라 생각된다.

요즘은 진주시가 관리하는 지는 모르지만, 누구든지 일과시간에는 창렬사를 방문해서 관람할 수 있고, 향을 피우고 그분들의 넋을 기리는 예를 올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자녀나 후진들과 함께 할 기회가 있다면 같이 향을 피우고 참례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2019.12.24

호국사

전통 사찰 제70호로 진주성 내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창건되어 원래 이름은 내성사(內城寺)였다. 고려 말에 왜구를 막기 위한 승병을 기르기 위해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때는 승군(僧軍)의 근거지가 되었다. 

제2차 진주성 전투에서 성과 함께 운명을 같이한 승병들의 넋을 기리기 위하여 숙종 때 호국사(護國寺)란 이름으로 재건하였다고 전한다. 호국사와 창열사는 바로 붙어 있는 건물이며, 윗쪽으로 서장대가 있다. [위키백과 참조]

호국사는 아픈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도 하지만 오랜 시간 시민들과 함께 해온 사찰이고 접근성이 매우 뛰어난 절이다. 많은 이들이 이곳 호국사를 찾아 복을 기원하고 진주성전투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기도 한다. 따라서 호국사는 단순한 사찰이 아니라 진주인들의 DNA에 새겨져 있는 절이다.

2019.12.24

 

서장대

진주성 서장대(晋州城 西將臺)는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 진주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장대이다.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6호 서장대으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장대는 지휘하는 사람이 올라서서 명령하는 대를 가리킨다. 진주시 남성동에 있는 이 장대는 진주성 서문에 속하는 곳이다.

『여지도서』에 보면 회룡루로 나오며, 규모는 작으나 진주성의 남장대인 촉석루와 같은 다락집형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금의 건물은 허물어진 것을 1934년 서상필씨가 새롭게 고쳐지은 것으로, 앞면 3칸·옆면 2칸의 여덟 팔(八)자 모양의 팔작지붕으로 목조 기와집이다.<위키백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호

2019.12.03

진주성 매점과 언덕 주변

진주성을 정비하면서 만들어진 진주성 매점은 주변의 고목들과 앞쪽에 조성된 정원과 잘 어우러진 아담한 운치있는 매점이다. 나는 이곳을 지날때는 반드시 커피자판기에서 커피를 한 잔 뽑아 마시며 여유를 갖는다. 특히, 가을에는 매점 뒷쪽 은행나무가 왕성하게 뻗은 가지와 무성한 노란 잎으로 주변을 뒤덮어서 온통 노란세상을 만들며 상당히 인상적이다. 정원 끝부분에는 진주성이 추천하는 촉석루 조망 포인트가 있다. 이곳에서 동쪽방향을 바라보면 진주성의 형태를 한눈에 볼 수 있고, 촉석루와 남강 그리고 진주교가 잘 어우러져 멋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이곳을 배경으로 기념사진을 찍는다.

매점 뒤쪽 언덕 아래에는 거대한 바위에 “개천예술탑”이라 새겨진 조형물이 있고, 그 언덕 위 넓은 터에는 조그마한 운동장이 있고, 1919년 3월 18일에 있었던 만세운동을 기념하는 “3.1 독립운동 기념비”와 미 제25사단 “칸”부대가 진주지역에 쳐들어온 북한군 6사단과 9사단을 격퇴시킨 사실을 기념하기 위해 설치한 “진주지구 전승비”가 있다. 

2019.10.31

진주성 비석군

진주성을 둘러보다 보면 수 많은 비석들이 쭉 늘어서 있는 것이 눈에 띄게 된다. 형태도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돌로 되어 있고, 어떤 것은 철제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이 많은 비석들은 어떤 의미가 있고, 누가 세웠는지도 궁금해 진다. 현장의 안내판에는 아래와 같이 적혀있다.

 

조선조 선조 37년(1604) 합포(마산)에 있던 경상도 우병영을 진주성으로 옮긴 병사 겸 목사 이수일의 음애비를 비롯, 효종 10년(1656) 목사 성이성의 청덕 유애비 등 조선시대에 세워진 30여기의 비석군이다. 이비석들은 진주성 또는 시내 각처에 있던 것을 1973년 문화재보호 협회 진주지부에서 모은 것이다.

 

자료를 조사하다 보니 친일행위를 한 인사들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도 다수 있다고 하니, 어떤 일을 진행함에 있어 급하게 후딱 해치우는 것이 얼마나 위험천만한 일인지 알것같다.

 

  진주성 안 ‘친일파’ 비석 여럿, 안내판이라도 세워야” 기사링크

 

 

2019.10.31

관련 사진은 아래에 정리하였다. 클릭하면 크게 볼수도 있고, 다운로드 할 수도 있습니다.

Verified by MonsterIns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