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암각화는 1995년 6월 23일에 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반구대안길 285, 태화강 지류에 해당하는 대곡천변의 절벽에 위치해 있는 세계적인 유적이다. 주변 암면 10여 곳에서도 소수의 암각화가 확인된다. 북향인 중심암면은 넓고 판판하며 절벽 윗부분이 처마처럼 퀴어나와 오랫동안 비비람으로부터 그림을 잘 보호하여 왔다.
지금까지 조사된 암각화는 약 300점으로 사람, 바다와 육지동물, 사냥과 어로 장면 등이 있다. 동물그림의 종류는 북방긴수염고래, 혹등고래, 참고래, 귀신고래, 향유고래, 바다거북, 바다 새, 물고기, 상어 등과 같은 바다동물과 대륙사슴, 사향사슴, 노루, 고라니, 산양, 호랑이, 표범, 멧돼지, 너구리, 늑대, 여우, 산토끼 등의 육지동물이 있으며, 배와 작살, 부구를 이용하여 고래를 사냥하는 장면과 활을 들고 사슴을 사냥하는 장면 등 선사시대 사람들의 수렵, 어로 생활상을 보여주는 그림도 잘 남아 있다.
반구대 암각화의 제작 시대는 울산 황성동 패총 유적에서 출토된 작살이 박힌 고래뼈와 우리나라 동남해안 일대의 고고학적 자료를 근거로 신석기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반구대 암각화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잡이를 표현한 암각화로 평가되어 현재 울주 천전리 각석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어 있다.
[현장 안내판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