曺植(1501-1572)
자는 楗仲, 호는 南冥·山海·方丈老子·方丈山人 등이며, 본관은 昌寧이다
1) 出生과 成學(0-31세)
남명은 연산군 7년 신유년(1501) 6월 26일 三嘉縣 兎洞에 있는 외조부 충순위 李菊의 집에서 태어났다. 남명의 증조부 생원 조안습이 창녕에서부터 삼가현 板峴으로 이주하여 비로소 삼가 사람이 되었고, 아버지 조언형은 같은 고을 토동에 사는 이국의 딸과 혼인함으로써 토동이 남명의 본거지가 될 수 있었다.
2) 山海亭 시대(32-47세)
32세 때 서울 집을 정리하고 김해의 山海亭에 머무르기 시작하여, 어머니의 侍墓가 끝나는 1548년에 본거지 兎洞으로 귀향하게 되는데, 그 사이의 기간이 山海亭 시대다. 남명은 비록 과거를 포기하였으나, 어머니의 명에 의해 계속 과거에 응시하였다가, 37세 때 드디어 어머니에게 청하여 과거에 응시하지 않게 되었다.
3) 雷龍舍 시대(48-60세)
48세 때 典牲署 主簿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이 해에 鷄伏堂과 雷龍舍가 이루어졌다. 계부당은 닭이 기를 끊지 않고 알을 품어 주어야 병아리를 부화할 수 있듯, 학문도 이처럼 꾸준히 기를 간직해야 뜻한 바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가 들어 있다. 뇌룡사는 ‘淵黙而雷聲[연못처럼 잠잠하다가 우레처럼 소리친다.]’에서의 ‘雷’와 ‘尸居而龍見[시동처럼 거처하다가 용처럼 나타난다.]’에서의 ‘龍’을 합친 뜻이 들어 있는 精舍다.
4) 山天齋 시대(61-72세)
남명은 61세 되던 해에 두류산 천왕봉이 가장 아름답게 보이는 진주의 德山 絲綸洞으로 거처를 옮겼다. 거처하는 곳의 이름을 山天齋라 하였는데, 이는 『周易』 大畜卦를 뜻하는 말이다. 이곳에 거처를 옮기면서 남명은 스스로 그 이유를 「德山卜居 」라는 시로 표현하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경상대학교 고문헌시스템을 위 제목의 링크를 따라가면 볼 수 있다.
합천 용암서원은 합천 삼가 인근의 유림이 남명 조식(1501~1572) 선생을 존모하여 향사하면서 강학 활동을 하였던 곳이다. 남명 선생은 경과 의를 학문의 핵심으로 생각하고, 힘써 익혀 아는 것은 반드시 실천하기를 강조하였으며, 현실 정치에 누구보다 깊은 관심을 가지면서도 날까롭게 비판하는 눈을 가졌으며, 출처를 선비의 가장 큰 절개라고 생각하였던, 우리나라 최고의 지성이였다. 이 서원의 전신은 1576년에 노흠, 송츼창 등이 의논하여 삼가현의 서쪽 회현아래 가회면 장대리에 세운 희산서원이다. 이 서원이 임진왜란 때 소실된 뒤, 1601년에 향강 즉, 황강 주변으로 옮겨 향천서원으로 복원되어 1605년 8월에 남명선생의 위판이 봉안되었다. 이 서원이 1609년에 용암서원으로 사액되었으나, 조선 말기에 대원군이 내린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서원의 건물로는 사당 승도사와 전사청, 강당 거경당, 동재 한사재, 서재 존성재 및 내외의 삼문으로 지숙문과 집의문이 있다.
[현쟁 안내판 참조]
이 정자 건물은 남명 조식 선생이 계복당과 함께 지어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던 곳이다. 남명선생은 본관은 창녕, 경삳도 삼가현 토동에서 태어났으며, 퇴계 이황과 더불어 영남 유학계를 양분했던 거유였다. 선생이 외토리로 옮겨 온 것은 48세 무렵으로 당시 세웠던 정자는 없어졌으며, 지금의 것은 1900년대 초 무렵 허유 등에 의해 다시 중건된 것이다. 뇌룡이라는 말은 장자의 시거이용현 연묵이뢰성 [시동처럼 가만히 있다가 때가 되면 용처럼 나타나고 깊은 연못 처럼 묵묵히 있다가 때가 되면 우뢰처럼 소리친다]에서 따온 것이다. 본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의 목조와가이다. 정면에는 원기둥을 세우고, 대청 좌우편에 방 셋을 두었다.
[현장 안내판 참조]
이곳은 조선 중기때의 대학자인 남명 조식(1501~1572)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선생은 닭의 해(신유년)인 1501년(연산군 7) 6월 26일에 이곳 외가에서 태어났다. 원래 선생의 본가는 삼가현의 판현에 있었다. 풍수에 따르면 선생의 외가는 명당자리로, 닭의 해에 태어나는 아기는 자라서 현인이 된다고 하였다. 그런 예언 때문인지 선생이 태어나던 날 우물에서 무지개 빛이 뻗치어 온 방을 가득 채웠다고 한다.
조선 중기 경상좌도의 퇴계 이황(1501~1570)과 더불어 영남 유림의 쌍벽을 이룬 선생은 특별히 “의”와 “경”을 존중하고 배운 것을 실천하는 선비 정신을 강조하였다. 때문에 선생이 타계한 지 20년 후인 임진왜란 때 정인홍, 곽재우를 비롯한 선생의 제자들이 의병장이 되어 손수 전쟁에 나선 것도 바로 이러한 선생의 가르침을 모범적으로 실천한 사례라 하겠다.
선생이 태어난 이곳의 건물은 언제 지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얼마 전까지도 이곳에 건물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그러던 것을 1970년도에 이른바 ‘새마을사업’때 철거하여, 지금은 폐허로 그 흔적만이 남아 있어 보는 이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국가 시책에 따른 역사 유적 파괴의 전형적이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선무량(宣務郞)으로서 단성현감(丹城縣監)에 새로 제수된 ‘조식(曺植)’은 진실로 황공하여 머리를 조아리며 주상전하께 소(疏)를 올립니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데 선왕(先王; 중종)께서는 신(臣)이 변변치 못한 사람이라는 것을 모르시고 처음에 참봉(參奉)에 제수하셨습니다. 그리고 전하(殿下)께서 왕위를 이으신 뒤에 주부(主簿)를 제수하신 것이 두 번이었는데 지금 또 제수하여 현감(縣監)으로 제수하시니 떨리고 두렵기가 언덕과 산을 짊어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도 아직까지 감히 횡종(橫縱) 한 자쯤 되는 땅에 나아가서 하늘의 해와 같은 은혜에 사례드리지 못하고 있습니다. 임금이 사람을 쓰는 것은 목수가 나무를 쓰는 것과 같습니다. 깊은 산과 커다란 연못 어느 곳에 있는 것이든 재목을 버려두지 않고 그것을 가져다가 커다란 집을 짓는 일을 이룩하는 것은 훌륭한 목수(木手)가 하는 것이지 나무가 스스로 참여할 수는 없는 일인 것입니다. 전하께서 사람을 쓰시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시는 책임 때문입니다. 제가 걱정이 되어 견딜 수 없는 것은 이 때문이니 감히 그 큰 은혜를 저 혼자 누릴 수는 없습니다만 머뭇거리며 나아가기 어려워하는 뜻을 끝내 측석(側席; 어진 신하의 자리) 아래 감히 말씀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신(臣)은 벼슬에 나아가기 어려워하는 뜻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지금 저의 나이는 예순에 가깝고 학문은 어두우며, 문장(文章)은 과거(科擧)시험에 끝자리에도 뽑힐 수 없고, 행실은 물 뿌리고 비질하는 일을 제대로 해 내기에도 모자랍니다. 과거시험을 보기 10여 년 동안에 세 번이나 떨어진 뒤 물러났으니 애초부터 과거공부를 일삼지 않은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만약 과거(科擧)를 탐탁하게 여기지 않은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런 사람은 성질이 급하고 마음 좁은 평범한 백성에 지나지 않을 뿐이니 큰일을 할 만한 온전한 인재는 아닙니다. 하물며 그 사람 됨됨이가 선(善)한가 선(善)하지 않은가는 과거(科擧)를 보려고 하느냐 과거를 보려고 하지 않느냐 하는 데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닙니다. 보잘 것 없는 신(臣)의 이름을 도둑질하여 집사(執事; 자신을 추천한 관원)에게 제가 훌륭한 인물이라고 잘못 판단하게 했고, 집사(執事)는 이름만 듣고서 저하에게 제가 훌륭한 인물이라고 잘못 판단하도록 한 것입니다.
전하께서는 과연 신(臣)을 어떤 사람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도(道)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문장에 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문장에 능한 사람이라고 해서 반드시 도(道)를 지닌 사람은 아니며 도(道)를 지닌 사람은 반드시 신(臣)처럼 이렇지는 않습니다. 신(臣)에 대해 다만 전하께서 아시지 못한 것일 뿐만 아니라 재상(宰相)도 또한 알 수 없는 것입니다. 그 사람을 알지 못하면서 등용(登龍)하여 훗날 국가의 수치(羞恥)가 된다면 어찌 죄(罪)가 보잘 것 없는 신(臣)에게만 있겠습니까. 헛된 이름을 바쳐 몸을 파느니 알찬 곡식(穀食)을 바쳐 벼슬을 사는 것이 낫지 않겠습니까. 신(臣)이 차라리 신(臣)의 한 몸을 저버릴지언정 차마 전하(殿下)는 버릴 수 없습니다. 이것이 나아가기 어려운 첫 번째 까닭입니다.
또 전하의 국사(國事)가 그릇된 지 이미 오랩니다. 나라의 기틀은 이미 무너졌고, 하늘의 뜻도 이미 전하(殿下)에게서 멀어졌습니다. 비유하건데, 큰 나무가 백 년 동안이나 그 속을 벌레에게 파 먹혀 진이 빠지고 말라 죽었는데도 그저 바라보기만 하여 폭풍우가 닥치면 견디어 내지 못할 위험한 상태가 언제 올지도 모르는 실정에 있는지가 오랩니다.
조정에 있는 사람 가운데 충성된 뜻 있는 신하와 일찍 일어나 밤늦도록 공부하는 선비가 없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이미 그 형세가 극도에 달하여 지탱할 수 없고 사방을 둘러보아도 손쓸 곳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소간(小官)들은 아래에서 히히득거리며 주색(酒色)이나 즐기고 대관(大官)은 위에서 거들먹거리면서 오직 뇌물(賂物)을 긁어모으는 데 혈안입니다. 고깃배가 썩어 들어가는 것 같은데도 그것을 바로 잡으려고 하지 않습니다.
뿐만 아니라 내신(內臣)들은 파당(派黨)을 세워 궁중의 왕권을 농락하고, 외신(外臣)들은 향리(鄕吏)에서 백성들을 착취하여 이리떼처럼 날뛰면서 가죽이 다 닳아 없어지면 털이 붙어 있을 곳어 없는 이치를 모르고 있습니다. 이런 까닭에 신(臣)은 깊이 생각해 보면 탄식만 길게 나올 뿐, 낮이면 하늘을 우러르기 수차례 이었고 눈물과 한숨을 누를 길이 없어 밤이면 잠을 이루지 못한 지가 오랩니다. 나라가 이 지경이고 보면, 자전(慈殿 .. 문정왕후)께서 생각이 깊으시기는 하나 밖의 소식이 막힌 깊은 궁궐 안의 한 과부(寡婦)에 지나지 않고, 전하(殿下)는 나이 어린 선왕(先王)의 한 외로운 자식일 뿐입니다. 저 많은 천재(天災)와 천 갈래 만 갈래로 흩어진 민심(民心)을 무엇으로 막고, 어떻게 수습할 수 있겠습니까.
냇물이 마르고 곡식이 비처럼 내리니 그 조짐이 무엇이겠습니까. 노랫가락이 구슬프고 입는 옷이 흰색이니 나라가 어지러울 형상임이 나타났습니다. 이런 때를 당하여 비록 재주가 공(公)과 공(公)을 겸하여 삼공(三公)의 위치에 있다 해도 손을 쓰기 어려운 형편이온데, 하물며 미신(微臣)과 같이 아무 힘도 없는 자야 더 말해 무엇 하리까? 위로는 나라의 위태로움을 조금이나마 부지할 수 없을 것이며, 아래로 터럭만큼도 백성들을 구제할 수 없을 것이니 전하의 신하 되기 또한 어렵지 않습니까. 추호라도 헛된 이름을 팔아 전하의 벼슬을 도적(盜賊)해서 그 녹(祿)만 먹고 하는 일이 없이 지내는 그런 신하가 되는 것을 신(臣)은 원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나아가기 어려운 두 번째 까닭입니다.
또 제가 요즈음 보건데 변방(邊方)에 일이 있어 여러 대신(大臣)들이 밥도 제 때에 먹지 못한다고 들었는데, 신(臣)이 이것을 이상하게 여기지 않습니다. 그것은 일찍이 20년 전부터 이 일이 생겼던 것을 전하의 영명(靈明)하심에 힘입어 이제야 발각된 것이요, 하루아침에 된 것은 아닙니다. 평소 조정에서는 재물로 사람을 임용(任用)하니 재물만 모이고 민심(民心)은 흩어져 결국 쓸 만한 장수도 없게 되고 성(城) 안의 병사 한 사람도 남아 있지 않기에 이르렀으니 적(敵)이 무인지경으로 쳐들어 온 것은 오히려 당연한 일입니다.
이번에도 대마도(對馬島) 왜노(倭奴)가 향도와 남몰래 짜고 만고에 끝없는 치욕스러운 짓을 하였건만 왕의 신령한 위엄이 떨치지 못하여 마치 절 하듯 하였습니다. 이는 옛 신하를 대우하는 의리가 혹 주(周)나라 예법보다 엄하면서 원수를 총애하는 은덕이 도리어 망(亡)한 송(宋)나라보다 더한 경우가 아니겠습니까. 세종(世宗)께서 남쪽 오랑캐를 징벌하시고 성종(成宗)께서 북벌(北伐)하신 일을 보아도 어디에도 오늘날과 같은 일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것은 하찮은 피부병에 지나지 않고, 마음과 속의 병(病)은 이보다 더 심각합니다. 가슴과 배의 통증(痛症)이란 걸리고 막히어 위아래가 통하지 않게 되는 것이니 이것은 곧 공경대부(公卿大夫)가 목이 마르고 입술이 타 들어가도록 열심히 일하지만 수레는 달리고 사람은 달아나는 것과 같은 일입니다. 근왕병(勤王病)을 불러 모으고 나라 일을 정돈하는 것은 자질구레한 정치나 형벌(刑罰)에 있지 아니하고 오직 전하의 마음에 달려 있습니다. 마음의 사이에서 말이 땀을 흘리는 것처럼 노력하여 만 마리의 소가 밭을 갈아야하는 너른 땅에서 곡을 거두는 그 기틀은 자기 자신에게 있을 뿐입니다.
유독 전하(殿下)께서 종사하시는 일이 무슨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학문(學問)을 좋아하십니까? 주색(酒色)을 좋아하십니까? 궁마(弓馬)를 좋아하십니까? 군자(君子)를 좋아하십니까? 소인(小人)을 좋아하십니까? 그 좋아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국가의 존망(存亡)이 달려 있습니다. 진실로 전하께서 확연히 깨달으시어 분연히 학문에 진력하사 명덕(明德) 신민(新民)의 도(道)를 얻으신다면 거기에 만선(萬善)이 갖추어져 있어 백 가지 응책(應策)이 연이어 나올 것이니 그것으로 조치를 취하신다면 나라를 바르게 다스리고 백성을 평화롭게, 위기를 평안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요약해서 간직하시기만 해도 마음이 비지 않음이 없으며 저울질이 고르지 않음이 없으며 사특한 생각이 나오지 아니할 것입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진정(眞正)이란 것도 다만 마음을 간직하는 데에 달려 있을 뿐이니 위로 하늘의 이치에 통하게 되는 데 있어서는 유교(儒敎)와 불교(佛敎)가 한 가지입니다. 다만 사람의 일을 시행함에 있어서는 다리가 없이 땅을 밟고 있는 형국이므로 우리 유가(儒家)에서는 본받지 아니할 뿐입니다. 전하께서는 이미 불교를 좋아하시니 그것을 학문하는 데로 옮기신다면 이것이 바로 우리 유가(儒家)의 일입니다. 이는 어렸을 때 집을 잃었던 아이가 자기 집을 찾아 부모 친척 형제 친구를 만나보는 일과 같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더구나 정치(政治)를 하는 것은 사람에 달려 있고 사람을 쓰는 것은 몸으로써 하고 몸을 수양하는 것은 도(道)로써 하는 것입니다. 전하께서 만약 사람을 쓰는 데 몸으로써 하신다면 유악 안에 있는 사람은 사직을 보위하지 않는 자가 없을 것이니 아무 일도 모르는 보잘 것 없는 저 같은 자가 무슨 소용 있겠습니까? 만약 사람을 문으로만 뽑으신다면 잠잘 때 이외에는 모두 속이고 저버리는 무리일 것이니 이 경우에도 앞뒤가 막힌 보잘 것 업는 저 같은 자가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다른 날 전하께서 왕 천하의 지경에 이르도록 덕화를 베푸신다면 저는 마굿간의 말석(末席)에서나마 채찍을 잡고 그 마음과 힘을 다해서 신하의 직분을 다할 것이니 어찌 임금을 섬길 날이 없겠습니까?
엎드려 원하옵건대 전하께서는 반드시 마음을 바로 하는 것으로써 백성을 새롭게 하는 요점으로 삼으시고 몸을 수양하는 것으로서 사람을 쓰는 근본으로 삼으셔서 왕도의 법(王道의 法)을 세우십시오. 왕도의 법이 왕도(王道)의 법(法) 답지 않으면 나라답게 되지 못합니다. 밝게 살피시길 엎드려 비옵니다. 신(臣)은 떨리고 두려운 마음을 감당할 수 없습니다. 죽음을 무릅쓰고 전하께 아룁니다.
윤종건의 내세상 블로그와 현장 석각문 참조